원포인트 인디아

 One Point INDIA

미국 철강 수입세 부과, 인도 철강 가격 하락 우려 -S&P 글로벌

원리포트
2025-03-06

이미지 출처: OpenAI DALL·E 


S&P 글로벌은 6일 발표한 보고서에서, 미국의 철강 수입세 부과 조치로 인해 철강 가격이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번 세금 조치는 글로벌 철강 무역의 재편성을 초래하며, 공급 과잉이 인도로 집중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S&P 글로벌은 이에 따라 인도의 철강 가격이 톤당 약 3000루피(약 34.52달러)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인도 철강업체들은 최근 중국, 한국, 일본에서 수입되는 철강의 급증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2025회계연도의 첫 10개월 동안 이들 국가에서 수입되는 철강량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 인도 철강 가격은 3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하락했으며, 당시 열연코일 가격은 톤당 5만2267루피로 떨어졌다. 이는 인도 철강업체들에게 큰 타격을 줬으며, 미국의 수입세 부과 조치가 가격 하락을 더욱 가속화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세 25%는 3월 12일 발효되며, 이는 전 세계적으로 무역 전쟁을 촉발할 가능성이 크다. S&P 글로벌은 이번 조치가 미국으로의 철강 수출을 비싸게 만들어, 수출 흐름을 다른 지역으로 돌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P 글로벌은 인도 철강업체들이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갈등 속에 놓여 있으며, 이는 향후 전망에 더 많은 불확실성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인도는 이미 전체 철강 수입의 40%를 일본과 한국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이번 수입세가 시행되면 이들 국가로부터의 수입이 더욱 증가할 가능성이 크다. 일본과 한국은 미국의 전체 철강 수입의 15%를 차지하고 있다.


인도는 2024년 약 1500만 톤 규모의 철강 생산 능력을 추가했다. S&P 글로벌은 철강 가격이 둔화될 경우, 인도의 철강 생산 능력의 완전한 활용이 지연될 수 있으며, 이는 향후 확장 계획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중국에서 수입되는 철강은 국내 철강보다 톤당 최대 70달러까지 저렴할 수 있어 인도 철강업체들의 수익성에 큰 압박을 가하고 있다.

ONE REPORT Co.Ltd.,

사업자등록번호  661-86-03204

4F, CS WIND bldg., 723, Eonju-ro,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대표  (822) 545_5798

report@onereport.co.kr



ONE REPORT Co.Ltd.,    l    사업자등록번호 661-86-03204    ㅣ    4F, CS WIND bldg., 723, Eonju-ro,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ㅣ    대표   (822) 545_5798    ㅣ   report@onereport.co.kr



ABOUT US


CONTACTss